2023. 7. 4. 18:46ㆍLINUX (Ubuntu)
쉘스크립트를 사용해 윈도우에 있는 '쓰레기통'기능을 우분투로 구현해보자
우선 vi editor를 사용해 junk.sh 스크립트를 만들어준다.
코드는 다음과 같이 짰다.
이 상태에서 ./junk.sh을 실행할 경우 허가 거부가 뜬다. ls -l을 통해 접근 권한을 확인했을때,
사용자의 실행권한이 없기 때문에 허가 거부가 생긴다.
chmod (실행권한 변경 명령어) 766 ( 8진수 사용)을 통해 ./junk.sh의 user에게 실행권한을 부여한다. (밑에 참고)
*****
8진수를 활용한 접근권한 변경법
1 : x 실행 권한
2 : w 쓰기 권한
4 : r 읽기 권한
첫번째 rwx : user
두번째 rwx : group
세번째 rwx : others
ex)
1 + 2 + 4 = 7 rwx ( 모든 실행 권한을 부여)
2 + 4 = rw_ (읽고 쓰기만 가능)
*****
기호를 활용한 접근권한 변경법
+ : 권한 부여
- : 권한 뺏기
u : user
g : group
o : others
ex)
o+rwx (others에 모든 권한 부여)
u+rw,o-x(user에 읽기 쓰기 부여, others는 실행권한 뺏기)
-----------------------------------------------------------------------------------
./junk.sh 파일의 실행권한 부여후,
파일이름을 하나 혹은 여러개를 작성하면 모두 ~/.junk (쓰레기통 지정 디렉터리)에 옮겨진다.
--> 이렇게 쓰레기통 스크립트를 사용하면 파일들이 바로 삭제되지 않고 쓰레기통에 모이게 된다.
'LINUX (Ubuntu)' 카테고리의 다른 글
리눅스(우분투) : apt-get 명령 (0) | 2023.11.01 |
---|---|
리눅스(우분투) ip 주소 확인 명령어 모음 (0) | 2023.10.10 |
리눅스 - 시그널 (SIGNAL) 코드 구현 (0) | 2023.07.14 |
리눅스 운영체제 붙여넣기 기능 (0) | 2023.07.08 |
우분투 패키지 설치 및 관리 (APT) (0) | 2023.06.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