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눅스 (우분투)- PORT 번호 확인 방법
2023. 11. 4. 14:17ㆍLINUX (Ubuntu)
우분투에서 열려 있는 포트번호 확인 및 포트번호의 정보를 볼 수 있는 파일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1. 포트번호 확인 (현재 활성화 상태인 PORT)
"netstat": 네트워크 통계 정보를 출력하는 명령어
- netstat 다양한 Option 뜻
-n | (또는 "--numeric"): 포트 및 주소를 숫자로 표시하며, 호스트명을 해석하지 않습니다. 이를 사용하면 DNS 조회를 수행하지 않고 더 빠르게 결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 |
-t | TCP 포트에 대한 정보를 출력합니다. |
-l | 리스닝 중인 (대기 중인) 연결 정보를 출력합니다. |
-p | 포트와 프로세스에 대한 정보를 출력하며, 어떤 프로그램이 해당 포트를 사용 중인지 확인할 수 있습니다. |
- Root 권한 필요 ($sudo su) : "netstat" 명령은 네트워크 상태 및 연결 정보를 조회하는 명령으로, 이 정보는 시스템의 보안 및 네트워크 구성에 중요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습니다. 일반 사용자는 일반적으로 다른 사용자의 연결 정보를 조회하거나 포트 설정을 변경할 권한이 없으므로 "sudo"를 사용하여 관리자 권한으로 실행해야 합니다.
이렇게 netstat를 사용하면 현재 활성화된 LISTEN 중인 PORT가 어디인지 이름을 알려줍니다. 저같은 경우에는 vsftp, ssh, xinetd 등 21, 22, 23번 포트 외에 여러 PORT가 활성화 된 것을 확인 할 수 있습니다.
1. 포트번호 변경 및 삭제 파일
- 포트 번호 변경 파일 : /etc/services
- 변경을 위해 관리자 권한 필요! - $sudo su
- 명령어 : $vi /etc/services
파일 진입 후, 원하는 포트번호를 변경 후 저장하면 그 포트번호를 사용해 접근할 수 있게 됩니다.
'LINUX (Ubuntu)' 카테고리의 다른 글
리눅스(우분투) : apt-get 명령 (0) | 2023.11.01 |
---|---|
리눅스(우분투) ip 주소 확인 명령어 모음 (0) | 2023.10.10 |
리눅스 - 시그널 (SIGNAL) 코드 구현 (0) | 2023.07.14 |
리눅스 운영체제 붙여넣기 기능 (0) | 2023.07.08 |
쉘 스크립트 - 쓰레기통 기능 만들어보기 (0) | 2023.07.04 |